본문 바로가기
Input

조표와 스케일

by CADRIT 2017. 10. 31.

위 조표를 보고 쉽게 이해하는 사람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있다.


필자는 위와 같은 방식으로 으뜸음을 찾고

달달 외워야 하는 학교 음악수업 방식이 싫었던 사람이다.


이것들을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없을까?


필자와 같은 마음을 가져본 사람이 있다면

아래 조표에 따른 스케일 변화를 주목해주시기 바란다.




* * *


각 KEY에 따른 스케일을 '도레미파/솔라시도'로 나누어 살펴보자.



C KEY : C-D-E-F / G-A-B-C


C KEY의 스케일은 누구나 아는 그대로이다.

여기서 샵조표가 하나 붙은 사장조로 가보자.

먼저, 슬래쉬(/)로 구분한 좌우를 교환한다.

결과는 아래와 같다.


G KEY : G-A-B-C / D-E-F#-G


F음에 샵이 붙었다.

스케일로 했을 때는 '시'에 해당하는 음이다.

슬래쉬로 구분된 좌우를 바꾸어

샵조표가 하나 더 붙은 라장조로 가보자.


D KEY : D-E-F#-G / A-B-C#-D


C음에 샵이 또 생겼다.

역시 스케일로 했을 때 '시'에 해당하는 음이다.


A KEY : A-B-C#-D / E-F#-G#-A


G음에 샵이 생겼다.

'시'음이다. 

아래부터는 설명을 생략한다.


E KEY : E-F#-G#-A / B-C#-D#-E


B KEY : B-C#-D#-E / F#-G#-A#-B


F# KEY : F#-G#-A#-B / C#-D#-F-F#


C# KEY : C#-D#-F-F# / G#-A#-C-C#



* * *


각 조마다 항상 '시'에 해당하는 음에 

샵이 붙게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샵이 붙는 순서대로 나열해보면

F-C-G-D-A-E-B 순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흔히 수업시간에 '파도솔레라미시'로 외우는 바로 그 것이다.


그리고, 조표에 붙은 '파도솔레라미시'에서 

한 음씩 높여서 으뜸음을 찾던 이유는

항상 샵이 각 조의 '시'에 해당하는 음에 붙기 때문에

거기서 한 음을 높이면 '도'가 된다는 

사실에 기인한 것을 알 수 있다.







반응형

'Inpu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올 - 그대가 미워요(남자KEY)(기타코드)(1capo)  (0) 2018.02.28
러시아어 기초 어휘 - (1)  (0) 2017.11.13
EbM7  (0) 2017.10.27
F#aug, A#aug, Daug  (0) 2017.10.26
Dm6, (Bm7b5)  (0) 2017.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