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utput

높은 산을 오르는 상황

by CADRIT 2020. 3. 20.

어떤 사람이 '높은 산을 오르는 상황'을 두고,

각 시대를 풍미한 사상가들은 어떤 말을 건넸을까.

 

필자가 각 사상가의 생각을 읽으며 느꼈던 메시지를 토대로

해당 상황과 잘 어울리도록 비유를 해보았다.

 

글의 정렬 순서는 사상가가 태어난 연도 순서이다.

 

 

※ 필자의 비유는 철저히 주관이 개입된 해석이며,

사상가들의 실제 생각과는 다를 수 있다.

 

 

 

 

 


<석가모니(BC 624~BC 544)>

남에게 의지하지 말고, 자신을 등불삼아 산을 오르라.

 

 

<공자(BC 551~BC 479)>
산을 오르는 당신의 힘듦을 이겨내고, 함께 산을 오르는 사람을 도와라.

 

 

<소크라테스(BC 470~BC 399)>
산이 있다는 걸 아는 것이 등산의 시작이다.

 

 

<플라톤(BC 428~BC 347)>
당신의 이성이 인도하는 대로 산을 오르라.

 

 

<맹자(BC 372~BC 289)>
당신의 양심에 따라 산을 오르라. 물욕에 빠져 하산하지 말라.

 

 

 

<예수(BC 4~AD 33)>

너희가 산을 오르지 못하도록 박해하는 사람들을 사랑하라.

 

 

<이황(1502~1571)>
당신이 산을 오르려는 이유가 무엇인가?
도덕적 명분으로 산을 오르는 것이라면 오르고,
감정적 욕망으로 인해 산을 오르는 것이라면 오르지 말라.

 

 

<이이(1537~1584)>
산을 오르는 이유는 도덕적인지 감정적인지 구별할 수 없을 만큼 섞여있다.
따라서 그러한 것들을 따질 시간에, 다시 한번 정신을 바로잡고 걷기 시작하라.

 

 

<토마스 홉스(1588~1679)>
산 아래는 이기적 개인들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 한없이 싸우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스스로를 지키고 안전하게 산을 오르기 위해서,
조금씩 힘을 모아 거대한 등산 조직을 구성해야 한다.

 

<이마누엘 칸트(1724~1804)>
산을 오르는 당신의 원칙이 누구에게나 통용될 수 있어야 한다.
함께 산을 오르는 사람을 수단이나 도구로서 대하지 말고,
인간 본연의 모습 자체로서 조건 없이 대하라.

 

 

<제러미 벤담(1748~1832)>
산을 오르는 50명 중에서 1명의 낙오로 인해
나머지 49명이 모두 산을 못 오르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낙오자 1명을 제외하고 등산을 계속해야 한다.
그것이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기 때문이다.

 

 

<아르투어 쇼펜하우어(1788~1860)>
산을 오르려는 '맹목적 의지'는 충동과 욕망을 의미한다.
이러한 욕망은 '결핍'에서 나온다.
설령, 산을 오르는 소망이 성취된다고 해도 지속적인 만족을 줄 수 없고,
도리어 만족하지 못할 경우엔 고통을 얻게 된다.
고통을 추방하기 위해 또 다른 산을 올라봤자 고통의 형태만 바뀔 뿐이다.
당신은 고통을 초래하는 맹목적 의지에 굴복당하지 않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산을 오르기만 하면 고통이 해소될 수 있다는 믿음은 유치하다.
산을 오르려는 맹목적 의지를 내려놓게 되면,
자신의 아픔 뿐만 아니라 타인의 아픔도 보인다.

 

 

<존 스튜어트 밀(1806~1873)>
당신이 타인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다면,
산을 어떤 방식으로 오르든, 아니면 오르지 않든 상관없다.
등산에 관련된 '신의 의지'나 '대중의 공인된 명령'이 있다고 해도,
그것이 당신의 자유로운 선택을 가로막을 수 없다.  

 

 

<쇠렌 키르케고르(1813~1855)>
산을 오르는 보편적 방법은 없다.
등산을 배운 자들의 위선에 단호하게 맞서라.
헤겔은 산 정상에 으리으리한 쉼터를 지어놓고,

자신은 산 아래에서 쉬고 있다.

당신이 주체성을 가지고 등산의 계획을 결정해라.
중요한 건 저 산을 오르는 일이 당신의 삶에 어떤 깊은 의미가 있냐는 것이다.

 

 

<카를 마르크스(1818~1883)>
당신으로 하여금 산을 오르도록 만든 것은
당신의 의지가 아니라 지배계급의 욕망이다.
당신이 산을 올라서 얻는 이득은 결국 지배계급에게 착취된다.
따라서, 당신이 산을 오르면 오를수록,
당신은 더욱 불행해지고, 지배계급은 더욱 강력해진다.
우리는 이러한 모순을 해소하기 위해,
지배계급에 투쟁하여 해방을 이뤄내야 한다.

 

 

<프리드리히 니체(1844~1900)>
높은 산에 굴복하지 말고, 그 산의 주인으로 존재하라.
높은 산을 오르는 과정은 자신을 뛰어 넘어 고양하는 기회이다.
산을 오르지 않고 안락만을 탐하는 것은 말세인이다.
산을 오르는 운명을 긍정하고 사랑하라.

 

 

<아돌프 히틀러(1889~1945)>
그 동안 우리 민족이 산 정상으로 오르지 못했던 것은
모두 유대인들의 배신과 무능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 민족이 산 정상으로 오르기 위해서는
인생을 살 가치가 없는 유대인들을 정리해야 한다.
  

 

 

 

 

 

 

 

 

반응형